자궁경부암 검진

한국 가이드라인(2015) : 만 20세부터 매 3년 간격으로 세포검사 권장.

ASCCP 가이드라인(2012): 만 21세 미만에서는 시행하지 않음.

국가건강검진(2018) : 
– 홀수해에는 생년 끝자리가 홀수로 끝나는 만 20세 이상의 여성이, 짝수 해에는 생년 끝자리가 짝수로 끝나는 만 20세 이상의 여성이 자궁경부암 무료검진 대상

한국 가이드라인 (2015) :
– 매 3년마다 세포검사, HPV 검사는 임상적 판단/수검자 선호도를 고려하여 시행

ASCCP 가이드라인(2012) :
– 매 3년마다 세포검사, HPV는 권장되지 않음. ASCUS가 나온 경우 HPV 검사를 시행할 수 있으며 HPV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매 3년마다 추적 관찰

국가건강검진(2018) :
– 홀수해에는 생년 끝자리가 홀수로 끝나는 만 20세 이상의 여성이, 짝수 해에는 생년 끝자리가 짝수로 끝나는 만 20세 이상의 여성이 자궁경부암 무료검진 대상

한국 가이드라인 (2015) :
– 임신 여부와 상관없이 지속
– 3년마다 세포검사, HPV 검사는 임상적 판단/수검자 선호도를 고려하여 시행

ASCCP 가이드라인(2012) :
– 5년마다, HPV & Pap test(선호됨),- 3년마다 세포검사 단독(가능함)

국가건강검진(2018) : 
– 홀수해에는 생년 끝자리가 홀수로 끝나는 만 20세 이상의 여성이, 짝수 해에는 생년 끝자리가 짝수로 끝나는 만 20세 이상의 여성이 자궁경부암 무료검진 대상

한국 가이드라인 (2015) :
– 선별검사 동일하게 진행 (2012년 가이드라인)
– 3년마다 세포검사, HPV 검사는 임상적 판단/수검자 선호도를 고려하여 시행

ASCCP 가이드라인(2012) :
– 선별검사 동일하게 진행
– 5년마다, HPV & Pap test(30대 이상, 선호됨)
– 3년마다 세포검사 단독(가능함)

국가건강검진(2018) : 
– 홀수해에는 생년 끝자리가 홀수로 끝나는 만 20세 이상의 여성이, 짝수 해에는 생년 끝자리가 짝수로 끝나는 만 20세 이상의 여성이 자궁경부암 무료검진 대상

한국 가이드라인 (2015) :
– 3년마다 세포검사, HPV 검사는 임상적 판단/수검자 선호도를 고려하여 시행

ASCCP 가이드라인(2012) :
– 5년마다, HPV & Pap test(선호됨)
– 3년마다 세포검사 단독(가능함)

국가건강검진(2018) : 
– 홀수해에는 생년 끝자리가 홀수로 끝나는 만 20세 이상의 여성이, 짝수 해에는 생년 끝자리가 짝수로 끝나는 만 20세 이상의 여성이 자궁경부암 무료검진 대상

한국 가이드라인 (2015) :
– 3년마다 세포검사, HPV 검사는 임상적 판단/수검자 선호도를 고려하여 시행

ASCCP 가이드라인(2012) :
– CIN 2 이상의 병변에서는 20년간 추적관찰 필요함.

CIN 2+, HSIL, 자궁경부암 등의 이상 소견이 있었던 경우 Screening 지속

국가건강검진(2018) : 
– 홀수해에는 생년 끝자리가 홀수로 끝나는 만 20세 이상의 여성이, 짝수 해에는 생년 끝자리가 짝수로 끝나는 만 20세 이상의 여성이 자궁경부암 무료검진 대상

한국 가이드라인 (2015) :

  • 최근 10년간 세 번 이상의 연속된 자궁경부 세포검사에서 음성인 경우 중단
  • 최근 20년 이내 CIN 2(HSIL)이상 진단 받지 않은 여성의 경우 중단

ASCCP 가이드라인(2012) :
– CIN 2 이상의 병변에서는 20년간 추적관찰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