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음순이 가려움증, ‘이 질환’일 수 있습니다!!
feat. 대음순 소양증, 뾰루지, 대음순 절제술
대음순 및 외음부 가려움증으로 병원에 방문하여 절제 수술로 치료되신 분 들 중에는 ‘한관종(Syringoma)’로 진단되시는 분들이 종종 있으신데요. 이 내용에 대해서 오늘 포스팅 해봅니다.
한관종이라고 말을 하면 단어자체가 어렵긴 한데요. 멀지 않은 주변에서도 눈 밑에 1~3mm 정도크기의 몽글몽글 올라오는 구진이 있으면 의심할 수 있습니다. 아래 사진과 같은 병변이 있으면 한관종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땀샘의 분비관에서 생긴 양성종양(혹)의 일종이고 눈 주위, 뺨, 이마 그리고 몸통, 생식기 주변에서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면서 미용적인 측면 말고는 특별한 증상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 한관종 : 대부분 눈 주위와 뺨, 이마에 1~3mm 크기의 피부색 구진으로 나타나며, 주로 성인 여성에게 발생하는 흔한 양성 종양 (출처: 서울대병원 의학정보)

한관종 왜 생기나요?
어떤 질환이 있으면, 왜 생겼는지에 대해서 궁금할 수 밖에 없는데요. 한관종이 생기는 이유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으며 예방방법이나 조심할 생활가이드도 명확한 것은 없습니다.
여성호르몬, 당뇨, 가족력, 피부의 염증성 변화, 특정 약물 복용 등과도 연관되어있다는 연구들이 있다고도 하지만 제대로 알려진 것은 없죠.
한관종은 미관상 불편한 것 없이 대부분 증상이 없기 때문에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는 편인데요. 외음부에 나는 한관종은 흔하지는 않지만 해결되는 만성 외음부 가려움증으로 환자를 엄청 고생시키기도 합니다.
어떤 경우, 외음부 한관종을 의심할 수 있나요?
1~5mm 구진이 올라온 것이 양측 대음순에 모두 있는 경우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월경 이후 가려움증이 악화되고, 증상이 좋아지고 나빠지는 것이 몇 해에 걸쳐서 오랜기간동안 반복되는 경우에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다양한 유사 질환이 있어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조직검사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대음순 가려움증을 일으키는 한관종, 어떡하나요?
미용적인 측면이나 가려움증이 없다면, 치료가 꼭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현재 예방이나 치료에 대한 특별한 가이드는 없는 상태입니다.
가려움증 치료가 골자이므로 가려움증 치료에 도움이 되는 항 히스타민제와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1번 치료가 됩니다.
그리고 문제를 일으키는 피부에 의도적인 손상을 입혀 치료를 할 수 있는 레이저, 박피, 고주파 치료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모든 치료에도 반응이 시원찮은 경우에는 최종적으로는 대음순 절제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대음순 절제에 대해서 예전에 작성해둔 것이 있으니 아래 링크를 한번 참고 해보세요.
외음부의 만성적인 가려움이 있다고 무조건 한관종이라는 뜻이 절대 아닙니다. 도돌도돌한 무언가가 양측으로 많이 존재하고, 스테로이드 연고와 먹는 약으로 조절 안되는 피부 병변이 있으면 혼자 고민하지 말고 병원에 방문하셔서 치료를 받으시면 좋겠습니다.
혼자 고민하는 것보다 병원에 방문하여 같이 고민하면 더 좋은 결과가 있으리라 믿습니다.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 기원합니다.
대음순 성형 진료 문의 및 예약 전화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