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링크
33세 아내, 30세 산부인과 의사 남편
- 아이 출산 경험에 의거한 ‘FACT’에 ‘FICTION’을 가미한 “FACTION” 입니다.
- 대부분의 내용은 산부인과 교과서를 기반으로 하였습니다.
- 의학적 지식은 계속 바뀌므로 참고만 하시고 최종결정은 지정의와 상의 후에 신중히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 모든 산모는 개개인에 맞춘 진료가 필요합니다.
-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남자 산부인과의사여서 그런지
모든 여성이 행복하고 건강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야 남성들이 더 행복해집니다.
- E-mail: forhappywomen@gmail.com
- Steemchat: forhappywomen
고민을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원격의료는 현행법 의료법상 불법입니다.
SNS 팔로워들과의 대화는??
와이프: 여보! 오늘 티라미수가 먹고 싶은걸?
나: 아?! 방금까지… 먹…던건 뭐야?
와이프 : 아~ 그건 우리 ‘콩콩이’가 먹고 싶어해서 먹은거구, 티라미수는 내가 먹고 싶어서~(찡긋~)
나 : 아… 콩콩이의 무게는 아직 1kg도 안되는데, 자기랑 먹는 양이 같구나^^
와이프 : 이 반응은 뭐지??
나 : 아니, 난 그냥 자기가 살이 요즘 많이 쪘다고 스트레스 받아 하는 것 같아서…
와이프 : 안먹어. 입맛이 없어졌어!
나 : 아… 다음부터 안그럴게 ㅠ_ㅠ 미안해 여보 (아싸 잘됐다~)

‘전 임신기간 동안 28kg나 쪘어요’라고 말을 했는데 보셨나요? 조금 인터넷 서핑을 해보니, 하루에 고기만 8끼를 먹었다고 말하네요. 대단합니다. 그렇게 살이 많이 쪘는데 살을 다시 빼다니…
가능하긴 합니다. 다만 과도한 체중증가는 산모와 아기에게 다소 안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조심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번에 말씀드릴 내용은 임신중 체중관리입니다.
입덧이 끝나면서, 그리고 임신 5개월에 들어서면서부터 식욕이 예전과 달라짐을 느끼게 됩니다. 이러한 임신중 체중의 증가는 아기 발달하고 자라는데 지원을 해주게 됩니다. ‘아기가 배가 고프다’가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아기에게 가기 위한 증가’는 확실합니다.
하지만, ‘내가 배고픈게 아니다. 아기가 배고파해서 그렇다.’‘라는 이유와 ‘임신을 했으니 아기 몫도 먹어라.’ 의 주변 분들의 권유와 배려가 시너지효과를 나타내며 많이 먹기 쉽습니다.

임신중 체중증가
체중의 증가는 아기, 태반, 양수 그리고 유방, 자궁이 커짐으로써 늘어나는 것이 주된 부분입니다. 하지만 그외에도 산모의 다양한 변화에 의해서 체중이 증가합니다. 몸에서 대사하는 에너지의 양은 임신전에 비해 10~20% 증가하여, 분기별로 추가적인 에너지 소모가 생깁니다. 1분기에는 85kcal정도라면 3분기에는 475kcal 에너지의 소모가 증가하게 되는 것입니다.[1] 이러한 몸의 요구를 맞추기 위해서 몸에서는 렙틴과 그렐린(식욕관련 호르몬)의 분비를 변화시켜 식욕을 증가시키게 됩니다. 더불어 지방을 축적하는 방향으로 몸이 바뀌는데, 이때 살찌는 부위는 임신전과 다르게 엉덩이, 등살, 허벅지에 지방이 많이 축적되는 반면, 팔과 종아리에는 축적이 많이 되지 않습니다[2].



산모의 식욕증가와 체중증가는 무죄다!
임신하면 어느 정도 체중이 증가해도 되는가?
임신을 하게 되면 체중이 증가하게 되는데, 많은 체중이 늘수록 좋은 것은 아닙니다. IOM(Institue of Medicine)와 미국 산부인과학회 ACOG에서 발표한 권고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임신전 체질량지수(BMI)에 따라서 분류를 해놓았고, BMI가 25이상인 경우에는 일반적인 산모들보다 조금 더 몸무게를 타이트하게 조절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BMI(체질량지수)란? 신장에 대한 체중의 비율을 평가하여 나타내는 비만도로 체중(kg)을 신장(m)로 두번 나눈 값.
예) 임신전 체중이 65kg, 신장이 160인 사람의 BMI는 60/(1.6)^2=25.4
계산하기 번거로우신 분들을 위한 그래프로 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내 키(Height)와 내 몸무게(kg)을 찾으면 저체중, 정상, 과체중인지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산모의 임신전 무게에 따라 다를 수 있겠으나, BMI가 25가 안된다면 주당 4.5kg, 임신기간동안 12-16kg정도로 아시면 편하겠습니다.

임신 20주, 30주, 40주는 있는데 25주는 없습니다. 25주쯤에 늘어나도 되는 체중을 계산하려면 20주 체중증가권장량에 5주를 추가하면 되겠습니다.
20주까지 체중증가량 : 4kg
임신 2분기 체중증가량 주당 400g : 2kg
25주 예상 체중증가량 은 6kg 입니다 (4kg+2kg)
위와 같은 방식으로 오늘 포스팅을 체중 조절에 참고하시면 됩니다. 이런 체중증가 권장량은 절대적인 수치가 아니니 너무 스트레스 받지는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에는 체중이 많이 늘면 어떤게 안좋은지, 그럼 어떻게 하는게 좋은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모든 산모님이 임신기간동안 건강하고, 건강하게 출산하였으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forhappywomen 이었습니다.
p.s. 도식화를 넣다보니 시간이 너무 걸려버려서 이만 자러가야 겠습니다.
@forhappywomen 의 참고 문헌들>
1.Williams Obstetrics. 24th Edition
2.Ann L. and Kathleen M. Rasmussen.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 Reexamining the Guidelines. National Academies Press, 2009. EBSCOhost.